농업에서 사용하는 광량 측정 단위 완벽 가이드 - Joule(줄), Watt(와트), μmol(마이크로몰), lux(룩스)

작물이 잘 자라지 않는 이유는 잘못된 광량 측정 때문일 수 있습니다. Joule(줄), Watt(와트), μmol(마이크로몰), lux(룩스) 차이점 정확히 알고 가세요. 스마트팜과 노지 농업, 수직 농장에 적합한 광량 측정 단위는 무엇일까요?
ioCrops's avatar
Oct 01, 2025
농업에서 사용하는 광량 측정 단위 완벽 가이드 - Joule(줄), Watt(와트), μmol(마이크로몰), lux(룩스)

1. 왜 농업에서 광량 측정이 중요할까요?

당신의 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않는다면 이유는 때문일 수 있습니다.
최근 수직농장과 스마트팜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많은 농업인들이 예상보다 낮은 수확량에 실망하고 있습니다. 국내 농업 현장에서도 광량 측정 오류 등으로 수확량이 줄거나 품질이 저하됐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습니다.
식물의 광합성은 빛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광합성은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식물이 성장하는 기본 원리인데, 이때 적절한 양과 질의 빛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농업인들이 사람의 눈을 기준으로 한 잘못된 광량 단위로 측정하고 있어, 식물에게 필요한 진짜 빛의 양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광량 측정은 단순히 전기료 절약을 넘어서, 작물의 생산성, 품질, 그리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그래서 이번 블로그에서는 농업에서 사용하는 광 측정 단위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2. 광량의 기본 개념 : 빛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할까?

빛의 물리적 특성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파장(wavelength)과 강도(intensity)라는 두 가지 주요 특성을 가집니다. 파장은 빛의 색깔을 결정하며, 강도는 빛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인간이 보는 빛 vs 식물이 사용하는 빛

인간의 시각

notion image
  • 가시광선 : 380-780nm
  • 용도 : 조명 설계, 시각적 편안함
  • 최고 감도 : 555nm(녹색)

식물의 광합성

광합성 활성 방사선,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광합성 활성 방사선,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 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 식물은 주로 400-700nm 가시광선 영역의 복사선을 흡수
  • 모든 파장이 고르게 중요함
  • 용도 : 에너지 생산, 성장 조절
[참고] 핵심 용어 정리
용어
정의
파장 범위
PAR
광합성 유효 복사
400~700nm
적색광
엽록소 흡수가 높은 빛
600~700nm
청색광
형태 형성에 중요한 빛
400~500nm
원적외선
열 효과를 주는 빛
700~1,400nm
이러한 차이 때문에 사람 기준의 측정 단위로는 식물에게 실제로 전달되는 빛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3. 일반적인 광량 단위와 그 한계 : 왜 룩스나 루멘은 농업에 부적합할까?

인간 중심 광량 단위들

많은 농업인들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단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의 눈에 인식된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룩스(lux)
사람의 눈에 인식된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룩스(lux)

룩스(lux), 농장에서 적합하지 않은 광측정 단위

농가에서 광을 룩스로 측정하여 보는 경우가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룩스는 절대적인 빛의 강도가 아닌, 사람의 눈에 인식된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기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는 사무실 또는 실내의 밝기를 잴 때 룩스를 사용하여 광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사람 눈에 기준한 밝기가 아닌 식물에게 전달되는 절대적인 빛의 양을 측정해야 하는 농가의 경우, 룩스 단위로 광을 측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실제 문제 사례

HPS 조명 vs LED 조명
HPS 조명 vs LED 조명
동일한 PPFD 300 μmol/m²/s를 제공하는 두 가지 조명을 룩스로 측정했을 때 :
  • HPS 램프 : 약 15,000 lux
  • 풀스펙트럼 LED : 약 8,000 lux
룩스 기준으로 보면 HPS가 훨씬 밝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식물에게 동일한 광합성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이는 HPS가 식물에게 덜 중요한 녹색광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오해가 생겼을까?

  1. 측정 장비의 접근성 : 룩스 미터는 저렴하고 구하기 쉬움
  1. 관습적 사용 : 건축/조명 업계에서 오랫동안 사용
  1. 교육 부족 : 농업용 광량 측정에 대한 전문 지식 부족

룩스를 포함한 여러 빛의 단위에 대한 적합성을 비교해보면,

단위
정의
농업 적합성
문제점
룩스(lux)
인간이 느끼는 밝기
❌ 부적합
녹색광 편중, 식물 반응과 무관
루멘(lumen)
광원의 총 광량
❌ 부적합
방향성 무시, 면적당 분포 불명
칸델라(candela)
특정 방향 광도
❌ 부적합
인간 시각 기준, 면적 정보 없음
와트(Watt)
전력 소비량
🔼 제한적
발광 효율 차이 무시

4. 그렇다면 농업에 적합한 올바른 광량 단위는?

1) 에너지 기반 광량 측정 : 줄(Joule)과 와트(Watt)

정의 및 측정 원리

농업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광량 측정 단위는  J/cm²(줄)과 W/m²(와트)입니다.
J/cm²(줄), W/m²(와트) 모두 물리적으로 광을 에너지 단위로 표현한 값으로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측정값을 제공합니다.

태양광 측정에서의 활용

이러한 에너지 단위는 특히 전천일사량(Global Solar Radiation) 측정에 적합합니다. 300-1500nm 범위의 태양광 스펙트럼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 온실 설계 및 작물 재배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태양광 에너지 분포 특성

검은선은 지구에 도달한 태양광 (Solar radiation, W/m²/nm) - Nederhoff, 2010
검은선은 지구에 도달한 태양광 (Solar radiation, W/m²/nm) - Nederhoff, 2010
  • 광합성유효복사(PAR, 400-700nm) : 전체 태양에너지의 약 45%
  • 근적외선(700-1500nm) : 약 50% (주로 열에너지)
  • 자외선(300-400nm) : 약 5%

측정 단위의 실무 적용

  • 순간 광량 측정 : W/m² (= J/s/m²)
    • 실시간 광도 모니터링
    • 광환경 제어 시스템의 피드백 데이터
  • 하루 누적 광량 측정 : J/cm²/day
    • 작물의 일일 광수용량 평가
    • 생육 모델링 및 수량 예측
줄과 와트는 Joule/s = Watt 변환 가능한 단위입니다.
W/m² 는 J/s/m²으로도 표현될 수 있고, 초(s) 당 제곱미터(m²)에 투과된 광 에너지(J)를 말합니다.
농업에서 사용하는 J/cm²은 정확하게는 J/cm²/day로 제곱 센티미터(m²)에 하루 동안 누적된 광 에너지(J)를 의미합니다.
예시 : "전날의 하루 누적 광량은 1,200 J/cm²이었으며, 정오 최대 순간 광량은 500 W/m²를 기록했습니다."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광자 플럭스 밀도 : μmol/m²/s (PPFD)

정의 및 측정 원리

PPFD(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는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에 도달하는 광합성유효복사 영역(400~700nm)의 광자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μmol/m²/s는 1초 동안 1m²에 1 마이크로몰(6.022 × 10¹⁷개)의 광자가 입사됨을 의미합니다.

농업적 활용가치

  1. 광합성 직접 연관성 : 광합성 반응은 개별 광자에 의해 일어나므로, PPFD는 식물의 광합성 잠재력을 가장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1. LED 조명 평가 : 인공광 농업에서 LED 성능 평가 및 최적화에 필수적인 지표입니다.
  1. 품종별 광요구도 설정 : 작물별 최적 PPFD 범위 설정을 통한 정밀 광관리가 가능합니다.

단위 간 변환 관계

형광등 기준 : 1 W/m² ≈ 4.59 μmol/m²/s (광원의 스펙트럼 특성에 따라 변환계수 변동)

측정 장비 고려사항

PPFD 측정용 퀀텀 센서는 일반적인 조도계나 일사계보다 고가이지만,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높은 측정 정확도
  • 스펙트럼 보정 기능
  • 장기간 안정성

5. 결론은

농업용 광량 측정에서는 측정 목적과 환경에 따른 적절한 단위 선택이 중요합니다.
룩스는 농업용으로 부적합하며, 에너지 기반 단위(W/m², J/cm²)는 태양광 환경에서, PPFD(μmol/m²/s)는 인공광 및 정밀농업에서 각각 최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
시설 원예 (스마트팜 온실, 식물 공장)
  • 주 단위 : μmol/m²/s (PPFD)
  • 보조 단위 : W/m²
노지 농업
  • 주 단위 : J/cm²/day (일적산), W/m² (순간)
  • 기상 데이터 연계 활용
향후 스마트팜 기술 발전과 함께 다중 스펙트럼 측정 시스템의 도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한 더욱 정밀한 광환경 제어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아이오크롭스 광센서 솔루션

환경에 맞는 정확한 광량 측정 전문 솔루션을 찾고 계신가요? 아이오크롭스는 농업 현장의 실제 요구에 맞춘 두가지 광센서를 제공합니다.

✨ 아이오크롭스 온습도/광센서 (일반형, 고급형)

온도, 습도, 광량을 동시에 측정하여 온실 내부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측정을 넘어서 작물 성장 환경 최적화를 위한 핵심 데이터를 아이오팜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제공합니다.
아이오크롭스 온습도/광센서
아이오크롭스 온습도/광센서
📌

주요 특징

  • 순간 광량 측정 : 실시간 광환경 모니터링
  • 하루 누적 광량 (DLI) : 작물별 최적 광량 관리
  • 온/습도 통합 측정 : 환경 요소 간 상관 관계 분석
  • 온실/노지 겸용 : 다양한 농업 환경에 적용 가능

적용 효과

  • 환경 데이터 기반 정밀 재배 관리
  • 에너지 효율적 광보조 시스템 운영
 

✨ 아이오크롭스 PAR센서 (일반형, 고급형)

광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PAR(360~1,120nm) 영역을 정확히 측정하여, 작물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광환경 조성을 지원합니다.
아이오크롭스 PAR 센서
아이오크롭스 PAR 센서
📌

주요 특징

  • PAR 전용 측정 : 광합성 유효복사 정밀 측정
  • 측정 항목 : 순간 광량 (W/m²), 누적 광량 (J/cm²)
  • 생육 단계별 최적화 : 작물 성장 패턴에 맞춘 광량 관리

전문 농업인을 위한 선택

  • LED 조명 시설의 성능 평가
  • 작물별 광요구도 정밀 분석
  • 계절별 보광 전략 수립
 

👉 아이오크롭스 센서 제품 자세히 알아보기

 
💧 혹시 습도 관리가 어렵다고 느끼시나요? 온도와 함께 작물 생육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습도에 대한 글도 있으니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Share article

ioCrops 아이오크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