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온실 습도 이해 완벽 가이드 - 상대습도 vs 절대습도 vs 수분부족분

스마트팜 온실의 핵심은 습도 관리! 상대습도만 확인하지 말고, 절대습도·수분부족분까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온실 관리에 활용해보세요.
ioCrops's avatar
Sep 25, 2025
스마트팜 온실 습도 이해 완벽 가이드 - 상대습도 vs 절대습도 vs 수분부족분
안녕하세요. 아이오크롭스(ioCrops)입니다.
혹시 온실을 운영하시면서 "습도 관리가 어렵다"고 느끼신 적 있으신가요?
온도와 함께 작물 생육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습도, 제대로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온실의 습도, 어떻게 확인하고 계신가요?

대부분 상대습도(%)를 가장 먼저 확인하고 계실텐데요.
사실 습도는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RH) - 단위: %
  •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 AH) - 단위: g/m³
  • 수분부족분 (Humidity Deficit, HD) - 단위: g/m³
각 습도의 표현 방식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습도에 대한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특성과 활용법을 알면 온실 환경을 더욱 정교하게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1. 상대습도 (RH) - 가장 친숙하지만 함정이 있어요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단위 %)란?
상대습도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습도 표현 방식으로, 현재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량 대비 공기 중 수증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 포화 수증기량 : 해당 온도에서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 상대습도 100%일 때의 수증기량)
notion image
상대습도의 장점
  • 사람이 느끼는 "건조함"과 "습함"을 잘 표현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
상대습도의 한계
온도가 변하면 상대습도도 변합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동일한 수증기량을 가지고 있더라도 온도가 10도에서 30도로 증가함에 따라 상대습도는 100%에서 28%로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동일한 수증기량에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습도 (하늘색은 수증기량, 노란색은 포화수증기량)
동일한 수증기량에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습도 (하늘색은 수증기량, 노란색은 포화수증기량)
notion image
  • 온도 10°C : 상대습도 100%
  • 온도 30°C : 상대습도 28%
즉, 상대습도 값만으로는 실제 공기중의 수분량은 알 수 없습니다.

2. 절대습도 (AH) - 실제 수분량을 알려주는 지표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단위 g/m³)란?
  • 절대습도는 세제곱미터(m³)의 부피에 포함된 수증기량(g)을 나타낸 값으로 습도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식입니다.
  • 절대습도의 영어 줄임말인 AH로 축약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 절대습도 값은 온도와 상대습도 값을 알면 절대습도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절대습도의 활용
온실 내/외부 습도 비교에 최적, 환기 효과를 판단할 때 꼭 필요한 지표입니다. 온실 내부와 외부의 온도는 다르기 때문에, 내외부가 같은 상대습도(%)를 가지더라도 공기 중 절대 수분 함량(g/m³)에는 차이가 나게 됩니다.
환기를 통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외부로 내보내려 할 때, 수증기는 내부 외부의 상대습도 값의 차이가 아닌 수증기량의 차이(= 절대습도 차이)에 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온실 습도가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절대습도 값은 온실 습도 관리에 중요합니다.
m³(세제곱미터) 부피에 포함된 수증기량(g)
m³(세제곱미터) 부피에 포함된 수증기량(g)
*절대습도 실전 활용 사례
질문 외부가 안개로 습도 100%인데, 온실 습도가 90%라면? 이때, 온실의 환기창을 여는 것이 온실의 습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까요?
온도(℃)
습도(%)
절대습도(g/㎥)
온실
25
90
21
외부
20
100
17
답은 “환기 창을 여는 것이 습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입니다.
  • 분석 : 외부 상대습도가 100%여도 절대습도는 온실보다 낮습니다.
  • 결론 : 환기창을 열면 온실 습도가 낮아집니다. 수증기는 농도가 높은 곳(온실)에서 낮은 곳(외부)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 실무 팁 : 외부 상대습도가 높아도 온도가 낮다면 대부분 환기가 도움이 됩니다!

3. 수분부족분 (HD) - 작물 증산의 핵심 지표

수분부족분(Humidity Deficit, 단위 : g/m³)이란?
notion image
수분부족분(g/m³) 계산하기
수분부족분(g/m³) 계산하기
쉽게 말해, “공기가 더 받아들일 수 있는 수분량”입니다.

작물의 증산과의 관계

온실의 수분부족분이 11g/m³ 이상으로 과도하게 클 때
  • 공기가 수분을 과도하게 빨아들이려 함
  • 온실과 작물의 과도한 절대습도 차이로 인해 작물은 과도한 증산을 막기 위해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방어
    • ➡️ 증산 작용 억제
반대로 온실의 수분부족분이 1.5g/m³ 이하로 과도하게 작을 때
  • 온실 내 공기가 작물의 증산 작용으로 생기는 수분을 받아들일 여유가 없음
    • ➡️ 증산 작용 방해
✅ 따라서, 작물이 스트레스 없이 증산작용을 잘 할 수 있는 온실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부족분 값을 유지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가지 습도 지표를 모두 활용하는 스마트한 온실 관리

통합 관리 전략

  1. 상대습도: 기본적인 습도 상태 파악
  1. 절대습도: 환기 시점과 효과 판단
  1. 수분부족분: 작물 증산 최적화

마무리 : 정밀한 습도 관리로 수확량 UP!

습도는 단순히 숫자 하나가 아닙니다. 상대습도, 절대습도, 수분부족분을 모두 이해하고 활용하면,
정확한 환기 시점 판단 작물 스트레스 최소화 에너지 효율적인 온실 관리 궁극적으로 수확량과 품질 향상

아이오크롭스의 데이터 솔루션, 아이오팜(ioFarm)

notion image
아이오크롭스의 데이터 플랫폼 아이오팜에서는 절대습도, 수분부족분 등과 같이 정밀한 온실 환경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손쉽게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이오팜은 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부터 환경제어기 데이터까지 쉽고 친철하게 한 화면에서 통합 분석합니다. 관수 전략 등 재배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스마트한 알림과 가이드까지 제공하고 있어, 수익성을 높이는 온실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차트
  • 각 지표별 최적 범위 알림
  • 환기 및 가습/제습 가이드라인 제공
📌

지금이 정밀 농업을 시작할 타이밍!

더 이상 감에만 의존한 스마트팜/온실 관리는 그만하세요!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으로 수익성을 높여보세요!
 
Share article

ioCrops 아이오크롭스